면접 질문
- 서류에서 1차로 걸러서 그런지 대부분 인성 면접이었습니다. (지원 동기, 학위 취득 후 계획)
- 고유값분해와 특잇값분해의 차이점
- 퀵소트/머지소트 알고리즘 언제 최악의 경우이고 왜 최악의 경우인지
- 마지막으로 궁금한 점이나 하고 싶은 말
하기
- 3개의 방 중 가운데 방에 들어가니 교수님 두 분이 계셨습니다. 두 분 다 자연어 쪽 교수님인 것으로 보아 연구계획서를 보고 분야별로 분류하신거 아닌가싶어요
- 컴퓨터구조,자료구조&알고리즘,머신러닝기초 중 한 분야를 골라 묻고 답하기
- underfitting, overfitting이 무엇이고 이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?
- L1, L2 규제의 차이는?
- dropout은 학습 때와 테스트 때 어떻게 다른가?
- knowledge tracing분야를 하고 싶다 했는데 input이 어떻게 되나 구현은 어떻게 해봤나
- 수학과 출신이라 컴공 쪽 전공을 들은게 거의 없는데 어떻게 준비 할거냐
- 왜 성대로 오고 싶었냐
- 답변을 다 못한 수준이었는데 하고 싶은 분야가 명확해서 붙여주신 느낌
합격 스펙
- 수도권 중하위 대학/CS/4.0/학부연구생 1년
- 수원대학교 수학과
학점 4.25
포트폴리오라고 하기엔 빈약한 논문 리뷰및 구현 3개
면접 후기
이미 서류로 뽑을 사람 다 뽑아놓고 결격 사유가 있는지 점검하는 느낌의 면접이었습니다. 교수님 두 분에 지원자 한 명 면접을 보았고, 15분 동안 심도 깊게 물어보시는데, 전공과 관련해서 깊이 물어보시기 보다는 정말로 상담(?)처럼 진행이 되었습니다. 왜 대학원 진학을 결정했는지, 왜 자대 연구실로 진학을 하지 않았는지, 타대 대학원 진학을 위해 어떤 노력을 했는지 등등 물어보시고 자소서도 꼼꼼히 읽어보시는 것 같았어요. !!!물론 방이 3개였기 때문에 방마다 차이가 있겠지만 제가 들어간 방은 그랬습니다!!! 전공 관련 질문은 그냥 가볍게 두 개 물어보셨습니다.
그리고 자소서가 정말 중요하다고 느꼈는데, 자소서를 통해 이 학생이 논문 작성을 잘 할 수 있을까?를 조금 보시는 것 같더라구요. 물론 내용이 중요하지만, 자소서 논리 전개를 보시고 논문 작성도 잘할 것 같다! 라고 생각하셨던 것 같아요.
성균관대 데이터사이언스융합 A군
- 딕셔너리에서 중복제거 하는 방법, 리스트 튜플 차이
성균관대 데이터사이언스융합학과 A양
- 자기소개 및 지원동기
- 프로젝트에서 사용해본 탐색 알고리즘에 대한 설명
- 자료구조에서 트리와 그래프의 차이점